여러분의 가계는 매달 플러스가 되나요? 마이너스가 되나요? 한 달 식비는 얼마나 되나요? 교통비, 통신비, 공과금, 대출이자, 저축, 보험 얼마나 나가는지 명확히 인지하고 계시는가요?
한 달 동안 줄일 수 없는 지출사항이 무엇이 있는지 확인해보셨나요? 또한 없앨 수는 없지만, 충분히 줄일 수 있는 내역은 무엇인지 고민해보셨나요? 만약 이것을 명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면 소비를 정확히 통제하고 있지 못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입(월급, 이자, 기타수입 등) -(빼기) 지출이 마이너스가 나온다면 여러분의 자산은 현재 감소하고 있다는 의미고, 그것이 지속해서 유지된다면 매우 위험한 상태이기 때문에 꼭 고쳐 야만 합니다.
하지만 '난 여전히 플러스인데?'라고 하신 분도 계실 겁니다. 마이너스보다는 상대적으로 다행인 상황입니다. 이럴 땐 어떤 부분에서 지출을 더 줄일 수 있는지, 그리고 계획적인 지출을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위의 가계 계획을 세우기 위해 '네이버 가계부'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뱅크샐러드 등 다양한 좋은 가계부 앱이 많지만, 이것을 쓰고 있는 이유는 처음 사용할 때 이걸 사용했고, 뱅크 샐러드를 써봤지만, 오히려 더 복잡해서 굳이 옮겨갈 필요성을 못 느꼈기 때문입니다.
그럼 저의 가계 계획 세우는 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매월 초 줄일 수 없는 고정비를 이미 지출로 잡아버립니다.
2. 변동성이 발생하는 비용은 목표를 잡습니다.
3. 그 목표를 지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따지고 보면 이것이 다인데 조금 더 디테일하게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두세 달 정도 모든 수입과 지출의 내역을 파악해야 합니다. 솔직히 저의 포커스는 수입이야 어떻게 할 수가 없는 것이기 때문에 지출을 위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저의 케이스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 고정비를 파악
보험비(13만 원), 통신비(3.3만 원), 관리비(5만 원), 전세 대출 이자(6.4만 원), 쿠팡 멤버십(2.9천 원)
- 변동성이 생기는 비용을 파악
식비(25~35만 원), 교통비(5~10만 원), 공과금(1~5만 원), 기타 잡비[생필품, 옷, 미용 등](5~10만 원)
- 기타 이벤트성 비용
부모님 용돈, 여자친구 생일 등

이런 식으로 파악이 됐다면 월초에 고정비를 이미 지출한 것으로 비용으로 처리합니다. 그럼 가계부의 잔고에는 돈이 줄어들겠죠?  만약 가계부의 잔고가 저번 달에 100만 원이 남아 그것이 이번 달로 이월됐다면, 고정비 지출 후 720,100원이 남아있을 겁니다.
그리고 이제 변동성이 생기는 비용에 대해 목표를 잡습니다. 위에서 파악된 내역의 최소금액(36)과 최대금액(60) 내에서 변동비용을 무조건 충족시켜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 36과 60의 평균값인 48을 목표로 잡습니다.
그런데 한 달 기준으로 위 금액을 48만 원만 쓸 거라고 생각하면, 월초에 다 써버리고, 월말 되면 최대비용을 초과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지출 통제의 어려움이죠. 2주 차 즈음 최대 목표인 60만 원 다 썼다고 먹어야 하는 밥을 안 먹을 수는 없으니 그때부터는 초과비용으로 잡히고 결국 마이너스 자산을 만들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이 목표를 1주일마다 목표금액의 1/4(12만 원)을 잡길 권장해드립니다.

즉 고정비를 모두 비용 처리한 후 72 만원 남은 잔고에서 1주 차 때는 잔고를 60까지는 무조건 남겨 놓겠다. 그 다음주에는 48, 그 다음주에는 36... 그 다음 주는 24만 원 이렇게 목표를 잡는 것입니다.
한 번에 크게 목표를 잡는 거보다는 세세하게 목표를 한주씩 채워나간다면 훨씬 더 계획적인 지출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월급이 또 들어오고, 그 잔액을 다음 달로 또 옮겨서 반복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쌓다 보면, 이벤트성 비용이 발생했을 때 자산을  미리 축적해놨기 때문에 별 부담 없이 기분 좋게 지출을 할 수도 있습니다.

자 지금까지의 내용을 파악하고 나서 위의 1, 2, 3을 다시 한번 읽어보시면 무슨 뜻인지 잘 이해가 될 것입니다.
이처럼 가계의 수입과 지출을 정확히 파악하고 관리하는 습관을 지니신다면 적어도 풍요롭지는(?) 못할 수도 있지만 부족하지 않은 미래를 준비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