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글의 목적

  많은 분들이 동의하지 못할 수도 있겠지만 저는 '돈 없이도 행복할 수 있다'라는 말이 거짓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맛있는 음식을 먹던가, 여행을 다니던가, 이쁜 옷을 입으려면 돈이 필요합니다. 물론 최소한의 생존을 위한 의식주 해결을 위해서도 돈이 필요하죠. 극단적으로 표현하자면 돈이 없어 못 먹어 배고프고, 한겨울에 얇은 옷밖에 없으며, 집이 없어 밖에서 추위에 떨고 있는데 행복할 수가 있을까요? 그런 상황에서도 행복하기에는 아주 힘들 거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욜로', '카푸어'등 현재의 삶에 가중치를 높여 저축을 줄이고 소비를 권장하는 삶은 과연 행복한 삶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반면 소비를 줄이고, 저축하고 투자하여 미래를 대비하는 삶은 그러면 행복하지 못한 삶이라 볼 수 있을까요? 여기에는 답이 없는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다가올 미래는 어느 정도 정해져 있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점점 짧아지고 있는 정년, 로봇으로 대체되고 4차산업시대, 인구절벽, 초고령화 사회인 현재 상황에서 미래에 대한 준비 없이 노후를 맞이하게 된다면 그 끝은 분명히 비참할 것입니다.

 

  '태어날때 가난한 것은 당신의 잘못이 아니지만 죽을 때 가난하게 죽는 것은 당신의 잘못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긴 여생 동안 미래를 준비하지 않고 그냥 살아왔기 때문이죠. 현재 경제활동을 하면서 돈을 벌고 있다면, 더군다나 아직 젊은 사회초년생이라면 이러한 문제가 직접적으로 와 닿지 않을 것입니다. 노후가 그때가 되면 국가 복지 차원에서 먹고살 수는 있게 해주지 않을까 하는 작은 기대를 하면서 말이죠. 하지만 위의 인구절벽, 초고령화 시대의 상황에서 국가에 대한 기대는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이미 국민연금의 재원이 고갈된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오고, 역피라미드형 인구 구조로 인해 젊은 세대들에게 세금을 거둬 노년층에게 베풀어주기에는 젊은 층의 부담과 반발이 매우 심할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에 더 이상은 국가에 노후를 기댈 수 있는 처지가 아닌겁니다. 

 

 여러분의 미래는 여러분이 직접 챙겨야 하고 책임져야 하는 시대가 왔습니다. 더 이상 국가에 의존해도 안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저희는 미래를 준비해야합니다. 그렇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가 가장중요할겁니다. 지금부터 제가 천천히 공부해왔던 내용을 토대로 정리해가며 가이드를 만들어볼까 합니다.

 

2. 진행과정

 1. 소비를 통제해야 합니다(feat 가계부)

 2. 새는 돈을 막아야 합니다(feat 보험)

 3. 세금을 줄여야 합니다(feat 연말정산)

 4. 회사생활에 충실해야 합니다(feat 회사 관련 팁)

 5. 재테크를 해야 합니다(feat 부동산, 적금, 주식)

 6. 건강해야 합니다(feat 생활패턴)

 

이러한 과정으로 진행될 것 같습니다. 제가 공부해왔던 내용을 최대한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해서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